목차
내 친구에게 위치를 표시하여 전송할 수 있다.
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이 카카오톡인데 그 안에 지도 앱을 사용하지 않고 카카오톡 내에 있는 지도 기능을 활용하여 위치를 표시해서 전송하는 기능이 들어 있다. 많이 사용하지 않는데 위치를 전송할 때 가장 쉬운 방법이다. 오늘은 카카오톡에서 내 위치를 표시하여 친구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.
![카카오톡에서 장소로 검색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qYxua/btrB6jCOWay/QDu1xQbIQcx7jAbSK9TpBK/img.png)
1. 카카오톡에서 장소로 검색
나의 채팅방의 더하기 버튼을 눌러서 지도를 실행한다.지도를 움직여서 보정하는 방법을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검색 기능을 사용하여 현체 위치를 표시할 수 있으나 검색을 통해서 지도를 보내는 것이 정확한 방법이다. 무엇인가 입력을 하고 검색을 할 때는 검색 버튼이 있어야 할 것 같으나 없을 경우에는 키보드에 검색 버튼은 누르면 된다. 지도 보내기 기능을 하려면 위치정보(GPS) 켜져 있어야 한다. GPS에 오차가 있는데 20-100M까지 오차가 있을 수 있다.
![전화번호로 검색하기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71fI/btrCakBiZtQ/YeC0k2itA3XL2k8pdsP3I1/img.png)
2. 카카오톡에서 전화번호로 검색하기
검색창에 전화번호를 검색창에 쓰고 검색을 누르면검색이 된다. 모든 전화번호가 검색되는 것은 아니고 개인의 집은 검색이 되지 않을 것이고 공공기관이나 공공장소 프랜 차이즈나 큰 회사들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면 검색이 된다. 위치정보 보내기를 터치를 하면 전송이 된다. 이 위치를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려면 위치정보 보내기를 터치하면 현재 위치가 전송된다.
![주소로 검색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Hhzm/btrB5VWsoSo/KuSQ9zKfsAtXLYJ7LdFiS1/img.png)
3. 카카오톡에서 주소로 검색
주소를 검색을 할때는 도로명 주소로 검색하는 것을 추천한다. 전국적으로 중복되는 도로명이 없기 때문이다. 시, 군, 구, 동명은 생략하고 공항로 34번 길 8처럼 도로명과 번지수를 입력해주고 검색을 누르면 된다. 여러 군데가 보일 수가 있는데 맨 위의 표시가 된 부분이 이 주소를 가리킨다. 위치 정보 보내기를 누르면 지도가 전송이 된다.
![지도확인과 화면 캡처와 비교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COJ3/btrB6JnGgHt/UTgJGNLwKry3KyVZXMAAO1/img.png)
4. 카카오톡의 지도확인과 화면 캡처와 비교
지도정보를 받았을때 어떻게 확인을 하고 찾아갈 수 있을까? 지금처럼 지도를 검색해서 보내는 사람도 있고 지도를 화면 캡처해서 보내는 것도 있는데 캡처한 화면은 영력 밖의 지도정보는 확인할 수 없고 지도를 확대할 경우, 이미지 확대만 될 뿐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없다. 그러나 지도는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움직여가면서 주변까지도 볼 수가 있다.
![기타 유용한 기능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8bLD/btrB8Q7EcSR/5PzcqFDmKXwq44pVvTFbtK/img.png)
기타 유용한 기능
카카오톡의 지도에서 상단 좌측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내가 가야 할 장소도 표시가 되지만 내가 위치한 곳이 표시가 된다. 하단 좌측의 버튼을 터치하면 내비게이션이 바로 실행이 된다. 하단 좌측에서 두 번째 버튼을 터치하면 카카오 택시가 실행이 되어서 갈 수 있는 것으로 예상 요금이 얼마이고 호출하기를 누르면 택시를 바로 호출할 수 있다. 그런데 사전에 카카오 내비와 카카오 T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.
지도기능을 하려면 꼭 해야 할일
우리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이 카카오톡인데 그안에 지도 앱을 사용하지 않고 카카오톡 내에 있는 지도 기능을 활용하여 위치를 표시해서 전송하는 기능이 들어 있다. 많이 사용하지 않는데 위치를 전송할 때 가장 쉬운 방법이다.카카오톡에서 지도 보내기 기능을 하려면 위치정보(GPS) 켜져 있어야 한다. GPS에 오차가 있는데 20-100M까지 오차가 있을 수 있다.
검색하는 방법은 여러가지이다.
검색창에 전화번호를 검색창에 쓰고 검색을 누르면 검색이 된다. 모든 전화번호가 검색되는 것은 아니고 개인의 집은 검색이 되지 않을 것이고 공공기관이나 공공장소 프랜 차이즈나 큰 회사들의 전화번호를 검색하면 검색이 된다.주소를 검색을 할 때는 도로명 주소로 검색하는 것을 추천한다. 전국적으로 중복되는 도로명이 없기 때문이다. 여러 군데가 보일 수가 있는데 맨 위의 표시가 된 부분이 이 주소를 가리킨다. 위치 정보 보내기를 누르면 지도가 전송이 된다.
지도검색과 캡쳐의 차이점
지도정보를 받았을 때 어떻게 확인을 하고 찾아갈 수 있을까? 지금처럼 지도를 검색해서 보내는 사람도 있고 지도를 화면 캡처해서 보내는 것도 있는데 캡처한 화면은 영력 밖의 지도정보는 확인할 수 없고 지도를 확대할 경우, 이미지 확대만 될 뿐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없다.그러나 지도는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움직여가면서 주변까지도 볼 수가 있다. 지도에서 상단 좌측의 아이콘을 터치하면 내가 가야 할 장소도 표시가 되지만 내가 위치한 곳이 표시가 된다.
네비게이션이 실행이 되려면 T맵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.
카카오톡 하단 좌측의 버튼을 터치하면 내비게이션이 바로 실행이 된다. 하단 좌측에서 두 번째 버튼을 터치하면 카카오 택시가 실행이 되어서 갈 수 있는 것으로 예상 요금이 얼마이고 호출하기를 누르면 택시를 바로 호출할 수 있다. 그런데 사전에 카카오 내비와 카카오 T앱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.오늘은카카오톡에서 내 위치를 표시하여 친구에게 전송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.
'생활정보& 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카카오톡의 QR코드로 친구추가 하여 단톡방을 만들수 있다. (0) | 2022.05.18 |
---|---|
카카오톡 용량 줄이는 방법으로 내 스마트폰을 관리하자! (0) | 2022.05.16 |
카카오톡 톡 서랍 플러스로 메모기능을 편리하게 활용 할수 있다고? (0) | 2022.05.14 |
카카오톡에서 단체로 문자보내는 방법을 알면 정말 편리하다. (0) | 2022.05.12 |
카카오톡 톡 서랍 플러스 기능으로 데이터를 관리할수 있다. (0) | 2022.05.11 |